<從MERS檢視韓國人的同質性>
相信最近生活在韓國的台灣人,
都不免對於韓國人的防疫態度搖頭嘆息,
即使WHO不斷警告,即使疫情不斷擴散,
多數的韓國人還是不放在心上。
“MERS不過是流感的一種,不用擔心啦!”
“我很健康絕對不會感染的啦!”
“就算感染MERS也死不了的啦!”
蓉姥身邊的韓國人,幾乎都抱持著相似的想法。
為何同樣身處在韓國,同樣看著韓國新聞報導,
韓國人會有如此大相逕庭的思考方式呢?
除了台灣人經歷過SARS,
知道MERS病毒傳播的危險性,
蓉姥認為最大的原因是韓國人的”同質性文化”。
“同質性”是蓉姥長期以來對韓國人的觀察,
也是蓉姥畢業論文研究的主題。
所謂同質性,
簡單來說就是有相似的想法和行為,
並從相似中獲得歸屬感及安定性。
依照蓉姥論文的調查,
韓國人有75%以上非常在意他人的眼光,
希望透過相似的選擇,而獲得他人的認同。
“從眾”是韓國同質性最普遍的表現方式,
以社會大眾最多的選擇作為仿效的依據。
一旦有人脫離了社會大眾的軌道,
很可能就會受到社會的排擠或異樣的對待。
由於社會對於"差異性"的接受度較低,
以致於多數的人都害怕與眾不同,
而做出與社會大眾相似的選擇。
以這次MERS來說,
多數人認為沒有戴口罩的必要,毋須製造恐慌,
也因此戴口罩的少數人成為不合群的對象,
社會不斷用多數的力量影響少數人的想法。
面對這樣的”群眾壓力”,
要堅持自己的立場並不容易,
而若要透過少數人去改變社會觀念,
更是難上加難…
蓉姥身邊有幾個韓國朋友,
因為擔心疫情而戴上口罩,
但卻不斷被他人用異樣眼光對待,
心裡覺得很難受…
(蓉姥自己也是其中之一)
也有些朋友認為大家都沒戴口罩,
自己戴了會很奇怪,
所以還是決定跟著大眾的腳步走…
韓國是個重視群體的民族。
想要融入韓國的群體生活,
就得按照社會的公式進行。
如何在社會壓力中堅持自我,
是在韓國生活要面對最難的課題。
<메르스를 통해 한국의 유사성 문화를 살펴보기>
이번 한국 메르스를 통해
한국은 점염병에 대한 방역태도가
놀라고 실망한 외국인들이 매우 많겠다.
WHO 계속 경고하여 메르스가 나날이 확산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심각함을 못 느끼는 사람이 대다수이다.
“메르스는 독감뿐이지. 걱장 안 해도 돼.”
“에이… 설마!? 나 건강하고 절대로 안 걸리겠지.”
“메르스 걸려도 안 죽겠지.”
대부분 한국사람들이
위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다.
같이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같은 뉴스와 신문을 보는데
왜 대만과 한국의 사고방식은
그렇게 큰 차이가 있을까?
물론 대만은 13년 전에 사스를 겪어봤으니까
전염병에 대한 위기의식이 더 높을 수 있지만
“한국의 유사성 문화”와 큰 관련이 있다고 본다.
“유사성”은 내가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한국은 가장 대표적인 문화로 관찰하게 된다.
그래서 졸업논문도 유사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사성이란 비슷한 생각이나 행동으로
소속함과 안전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논문실험에 따르면
75%이상의 한국인들이 남의 시선을 매우 의식하여
사회 적합한 선택을 통해 인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 추종경향’은 유사성이 보편적인 표현방식이다.
사회에서 대중의 선택에 의하여 따라가는 것이다.
만약에 사회 규범에 벗어나거나 독특한 선택을 한다면
차별화한 시선과 대우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사회에는 차별성에 수용도가 낮기 때문에
대부분 사람들이 눈에 띄는 행동이나 제품을 기피한다.
그러므로 점점 비슷한 경향으로 가게 된다.
예를 들어 이번 메르스에는
대부분 한국인들이 마스크를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이
사회 개념과 달라진 소수이 되었다.
그리고 다수는 계속 소수에게 영향을 끼친다.
군중의 압박에서
개인 주장을 견디는 게 쉽지 않다.
소수인들이 다수인들에게 생각을 바꾸는 게
하늘의 별 따는 것만큼 어렵겠다.
주변에 한국 친구 몇명이
요즘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데
다른 사람의 이상한 시선을 계속 받아서
많이 불편하다고 한다.
또한 몇 명 한국인이 생각에는
대부분 사람들이 다 안 쓰다보니
자기만 쓰면 이상하게 될까 봐 안 쓰겠다고 했다.
한국은 집단사회를 중시한 민족이다.
사회생활에 어울리게 살려면
집단의 규범에 따라가야 한다.
이런 사회환경에서 자신의 독특성과 의견을 견디는 게
매우 어렵고 힘든 일이라고 생각한다.
Search